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8, pp.69-102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15 Nov 2017 Reviewed 10 Dec 2017 Accepted 15 Dec 2017 Revised 20 Dec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12.68.69

탈북 작가의 글쓰기와 자본의 문제

서세림**
**광운대학교 강사
North Korean Defectors’ Writing and Related Issues of Capitalism
Seo, Se-Rim**

초록

본고에서는 탈북 작가의 글쓰기와 자본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며 탈북자들의 수는 이전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였다. 2000년대 들어 탈북 문제와 관련한 사회적 논의의 증가와 함께, ‘탈북 문학’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탈북 문학과 관련하여 북한 사회와 탈북자의 인권 유린, 여성 문제, 정치범 수용소, 남한 사회에서의 적응, 탈북 디아스포라 등 다양한 문제들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탈북자와 자본의 문제는 의미 있는 지점이다. 탈북자들을 단지 한국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관찰하고 비판하기 위해 기능하는 도구적 존재로만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들은 사회주의 독재 체제의 균열이 발생한 지점에 틈입해온 자본의 실체에 접근한 경험과 기억을 갖고 탈북해 왔으며, 이것은체제와 경제 상황 등 거시적인 요인들의 종합적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탈북자 출신 작가들의 2000년대 이후 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탈북 작가들이 직접 서사화하고 있는 글쓰기 욕망과 자본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김유경, 이지명, 도명학, 장해성 등 지속적으로 소설을 발표하며 남한에서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탈북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전까지 주로 한국 작가의 소설 속에 등장한 탈북자들의 모습과 그들의 자본인식이 남한 사회 비판으로 이어지는 양상에 대해 주목해왔다면, 탈북 작가가 직접 서사화하고 있는 북한 ‘장마당’ 경제에서부터 탈북 과정의 교환성 인식 및 한국 사회에서의 자본주의 탐색 등에 대해 살펴보고, 탈북 작가의 글쓰기와 시장성이 맺는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탈북 작가들의 소설에서는 장마당을 중심으로 북한 주민들이 자본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겪는 과정이 자주 나타난다. 이때 장마당의 형성은 체제의 통제력에 균열을 드러내는 기능을 하며, 그것은 스스로 삶을 이끌어가야 한다는 인식으로 이어진다. 이와 동시에 장마당을 중심으로 하는 교환경제의 양상은 강력한 독재 체제 속에서 오히려 주민들의 삶을 더욱 위협하는 불안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러한 균열의 지점에서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비판 행위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며, 그 과정에서 지식인의 반성적 성찰이 수반된다. 탈북 작가들의 글쓰기는 정치적, 이념적 논란의 대상인 북한이라는 체제의 폐쇄성을 다루면서 탈북자로서의 진실성과 정치적 소명의식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빈곤을 벗어나 이주한 한 개인으로서의 인식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층위가 단순하지 않다.

북한 체제 내부에 대한 비판이나 탈북 과정에서의 고통에 대한 형상화와 함께 탈북 이후의 삶과 적응 문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탈북자들의 형상화는 그들이 자본주의 체제의 호모 이코노미쿠스로 재탄생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보여주는 동시에,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탈북자들은 한국 사회에서 ‘차이’를 보여주는 존재들이지만, 그러한 차이로 인해 새로운 창조적 유목민으로 기능하며 한국 사회에 또 다른 상생의 기회를 부여 할 수 있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trend of writing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related issues of capitalism. The number of defectors surged as North Korea went through the so-called period of ‘Arduous March’ in the mid-1990s. Then as social discourses on North Korean defection became widespread in the 2000s, growing attention was given to defector literature. Books written by South Korean writers featuring North Korean defectors were published,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emselves produced writing of various genres. Their writing materialized unusual experiences of defectors and showed their desire for testimony. North Korean defectors are entangled in a complex web of issues concerning human rights, ethnicity, division of the country, and international laws, and perspectives on these issues are an important matter of dialectics that combines peculiarity of a divided country with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for a small group of the op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capitalism is particularly pronounced. We cannot see defectors merely as an instrument to observe and criticiz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within South Korean society. In this article, we examined North Korean defectors’ desire for writing and related issues of capitalism, based on novels written by defectors since 2000. Specifically, we focused on writers who have been active and publishing steadily, including Kim Yu-gyeong, Lee Ji-myeong, Do Myeoung-hak, and Jang Hae-seong. In the past, emphasis has been given to how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escribed in novels written by South Korean writers, and how their perception of capitalism led to criticism of South Korean society. In comparison, we examined North Korea’s Jangmadang(Unofficial market) economy as described by defectors, their perception of interchangeability in the course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ir exploration of capitalism in South Korean society;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writing and its marketability.

Description of defectors’ struggle to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reveals the difficulty of being reborn into a capitalistic society as Homo Economicus. It could also affect thinking of the public of South Korean society. Defectors reveal themselves as ‘different’ beings in South Korean society, positioning them creative nomads, and such existence provides a new opportunity for co-mingling in South Korean society.

Keywords:

Defected writer, Capital, Jangmadang(Unofficial market), Criticism, Homo economicus, Chang Hae-seong, Lee Ji-myeong, Kim Yu-gyeong

키워드:

탈북 작가, 자본, 장마당, 비판, 호모 이코노미쿠스, 장해성, 이지명, 김유경

Notes

이 논문은 2017년 10월,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된 제52회 한국현대소설학회 전국 학술대회 <작가란 무엇인가>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 김유경, 『청춘연가』, 웅진지식하우스, 2012.
    • 리지명, 『삶은 어디에』, 아이엘앤피, 2008.
    • 윤후명 외, 『국경을 넘는 그림자』, 예옥, 2015.
    • 이경자 외, 『금덩이 이야기』, 예옥, 2017.
    • 장해성, 『두만강』, 나남, 2013.
    • 『망명북한작가PEN문학』.

    2. 논문

    • 고인환,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 연구-「바리데기」와 「리나」에 나타난 ‘탈국경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52, 한국문학회, 2009, 215-245면.
    • 권세영, 「소수집단 문학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 창작 소설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35, 한중인문학회, 2012, 291-310면.
    • 김세령, 「탈북자 소재 한국 소설 연구-‘탈북’을 통한 지향점과 ‘탈북자’의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53,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35-86면.
    • 김소륜, 「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 『여성문학연구』 41,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109-143면.
    • 김인경,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분단현실의 재현과 갈등 양상의 모색」, 『현대소설연구』 57,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267-293면.
    • 김효석, 「‘경계’의 보편성과 특수성-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 소설들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9, 126-152면.
    • 김효석,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의 현황과 가능성 고찰-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57, 중앙어문학회, 2014, 305-332면.
    • 박덕규,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한국문예창작』 제14권 제3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5, 89-113면.
    • 서세림,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 연구-탈북자의 디아스포라 인식과 정치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52,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81-104면.
    • 양진오, 「국민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분단의 상상력-2000년대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64, 우리말글학회, 2015, 349-373면.
    • 엄태완, 「북한이탈여성 이동(移動)의 재해석-노마드(nomad)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여성연구』 8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7-42면.
    • 이성희, 「탈북자 소설에 드러난 한국자본주의의 문제점 연구-박덕규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51, 한국문학회, 2009, 261-288면.
    • 이성희,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탈북 작가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1-21면.
    • 이영미,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북한의 문학정체성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64,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217-243면.
    • 이지은, 「‘교환’되는 여성의 몸과 불가능한 정착기-장해성의 『두만강』과 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16, 구보학회, 2017, 517-542면.
    • 정하늬, 「탈북 작가 도명학과 이지명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인간’의 조건」, 『통일인문학』 69,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33-64면.
    • 천혜정ㆍ서여주,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소비행위의 의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0권 3호,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109-135면.
    • 최병우, 「탈북이주민에 관한 소설적 대응 양상」, 『현대소설연구』 61,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323-353면.

    3. 단행본

    • 김종군, 정진아,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박이정, 2012.
    • 박덕규ㆍ이성희, 『탈북 디아스포라』, 푸른사상, 2012.
    • 엄태완, 『디아스포라와 노마드를 넘어』, 경남대학교출판부, 2016.
    • 이숭원 외, 『한국 현대문학의 향연』, 역락, 2017.
    • 허만호, 『북한 인권 이야기-현안과 국제적 논의』, 경북대학교출판부, 2014.
    • 조르조 아감벤, 정문영 역,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새물결, 2012.
    • 카를 야스퍼스, 이재승 역, 『죄의 문제』, 앨피, 2014.
    • 콰메 앤터니 애피아, 실천철학연구회 역, 『세계시민주의』, 바이북스, 2009.
    • 한나 아렌트, 이진우ㆍ태정호 역,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