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7, pp.447-48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05 Aug 2017 Reviewed 08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Revised 18 Sep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9.67.447

‘전쟁 모성’이 생산한 여성 의식 : 박완서의 장편소설 『나목』(1970),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1995), 『그 남자네 집』(2004)을 중심으로

한경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Women’s Consciousness produced by ‘War Mortality’
Han, Kyung-Hee*


Copyright Ⓒ 2017

초록

이 논문은 계보학적 페미니즘 연구의 일환으로서, 본질적 여성성의 유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기존 여성성 논의와 거리를 두고 ‘여성성은 어떻게 구성되어왔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대적 맥락 속에서 여성성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그 일례를 보여주는 박완서의 전쟁 체험 소설들을 연구 대상으로 다루고자 한다.

박완서의 전쟁 체험 소설들 속 딸들은 전쟁으로 인해 가족이 무너지게 되면서 배고픔을 스스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처한다. 이에 배고픔에 대해 처음으로 두려움을 느낀 딸들은 경제 활동에 나선다. 이들은 배고픔에 굴복해 경제 활동에 나선다는 데 대해 즉 자신이 물질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에 대해 수치심을 느낀다. 이러한 수치심은 자신이 물질에 대해 강한 이기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는 비도덕적인 사람이고 느끼도록 만든다. 또한 자신처럼 전쟁으로 가장을 잃어 가족의 생계를 잇기 위해서라면 어떤 수단도 불사하는 ‘전쟁 모성’에 대해서도 수치와 혐오의 감정을 느끼도록 만든다.

딸들은 자신으로 하여금 먹을 것을 구하도록 종용하는 생활환경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딸들은 자기 대신 먹을 것을 구해다줄 수 있는 남자 즉 경제력 있는 남자와 결혼한다. 이 선택으로 딸들은 가난이 주는 수치심으로부터 벗어나나 또 다른 도덕적 수치심, 자신의 성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부를 얻었다는 수치심을 갖는다. 이때의 수치심은 딸들의 중산층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의 핵을 이루게 된다. 아직 경제적 안정을 얻지 못한 가난한 여성들을 아직 거래되지 못한 혹은 거래에 실패한 여성들로 봄으로써 계층적 우월감을 얻는 것이다.

Abstract

As a part of genealogical feminist research, this paper attempts to raise the question of how femininity has been structured in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discussion of femininity, centered on the existence of essential femininity. For this purpose, I will focus on Park Wan - seo's novels of war experience, which illustrate how femininity is construct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e daughter of Park Wan - seo's war experience novels suffers from the fact that the family collapses due to the war, and hunger must be solved by oneself. Daughters who feel frightened for the first time about hunger go to economic activities. They feel shame about the fact that they are succumbing to hunger and going to economic activities, that is, they are dependent on substances. This shame makes them feel an immoral person with a strong selfish desire for matter. It also makes them feel shame and disgust about the “war maternity,” which means that if I lose my impersonation as a war and live a family, I will feel the feeling of disgust and hatred.

Daughters want to escape from the living environment that encourages them to seek food. To this end, daughters marry a man who can save food for him, that is, an economically powerful man. With this choice, the daughters get out of the shame of poverty and have another moral shame that they gain wealth by using the sex. The shame at this time forms the nucleus of the identity of the daughters' middle-class women. It is to gain a hierarchical superiority by considering poor women who have not yet achieved economic stability as women who have not been traded or have failed to trade.

Keywords:

Wanseo Park, feminity, shame, feministic genealogy, middle class

키워드:

박완서, 여성성, 수치심, 페미니즘 계보학, 중산층

Reference

    1. 자료

    • 박완서,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문학동네, 2013.
    • 박완서, 『배반의 여름』, 문학동네, 2013.
    • 박완서, 『그 남자네 집』, 세계사, 2012.
    • 박완서, 『그 산이 정말 거기에 있었을까』, 세계사, 2012.
    • 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세계사, 2012.
    • 박완서, 『나목』, 세계사, 2012.

    2. 논문

    • 권명아, 「박완서 문학 연구 – 억척 모성의 이중성과 딸의 세계의 의미를 중심으로」, 『작가세계』 제23호, 1994.
    • ______, 「박완서 : 자기상실의 ‘근대사’와 여성들의 자기찾기」, 『역사비평』 제45호, 1998.
    • 김윤정, 「박완서 소설의 젠더 의식 연구: 수행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012.
    • 김은하, 「애증 속의 공생, 우울증적 모녀관계」, 『여성과사회』 제15호, 2004.
    • 송은영, 「‘문밖의식’으로 바라본 도시화-박완서 문학과 서울」, 『여성문학연구』 제25호, 2011.
    • 신샛별,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먹는 인간’의 의미: 초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______,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먹는 인간’의 의미 – 초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제45집, 2015.
    • 신수정, 「박완서 소설과 전시 여성 가장의 미군 PX 경험」, 『인문과학연구논총 』 제37권 2호, 2016.
    • 안남연, 「박완서 소설의 여성성」, 『한국문예비평연구』 제2호, 1998.
    • 오자은, 「1980년대 박완서 단편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존재방식과 윤리」, 『민족문학사연구』 제50호, 2012.
    • 이선미, 「세계화와 탈냉전에 대응하는 소설의 형식-기억으로 발언하기-1990년대 박완서 자전소설의 의미 연구」, 『상허학보』 제12호, 2004.
    • 이선미, 「박완서 소설과 비평-공감과 해석의 논리」, 『여성문학연구』 제25호, 2011.
    • 이인숙, 「박완서 단편에 나타난 여성의 ‘성’」, 『국제어문』 제22호, 2000.
    • 이정숙, 「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이정희, 「오정희·박완서 소설의 근대성과 젠더 의식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 이태동,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탐구-박경리, 박완서 그리고 오정희의 경우」, 『한국문학연구』 제19호, 1997.
    • 차미령, 「생존과 수치」, 『한국현대문학연구』 제47호, 2015.
    • 하응백, 「모성, 그 생명과 평화」, 박완서, 『배반의 여름』, 문학동네, 1999.
    • 한경희, 「자본주의를 비판하며 자본주의와 교섭하기」, 『페미니즘연구』 제16권 제2호, 2016.

    3. 저서

    • 심영희·정진선·윤정로 외, 『모성의 담론과 현실』, 나남출판, 1999.
    • 윤택림, 『한국의모성』, 지식마당, 2001.
    • 이재경·유철인·나성은 외, 『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 아르케, 2015.
    • 정진성·안진 외, 『한국현대여성사』, 한울아카데미, 2004.
    • 주디스 버틀러, 조형준 옮김,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12.
    • 마사 너스바움, 조계원 옮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