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7, pp.121-14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29 Jul 2017 Reviewed 08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Revised 18 Sep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9.67.121

The Hybrid Culture and Language Power about Lee, Chang-Rae's Native Speaker

전영의*
*지린 후아치아오 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에 나타난 혼종적 욕망과 언어권력
Chon, Young-Eui*


Copyright Ⓒ 2017

초록

본 논문은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을 중심으로 언어로 표상되어지는 인물들의 혼종적 욕망과 권력관계를 읽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순한 언어번역으로는 읽어내기 힘든 잉여적 부분마저도 읽어내는 데 필요한 문화번역읽기를 시도하였다. 텍스트에서는 인물들의 욕망이 언어와 정체성의 문제들, 문화권력 안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성취되거나 좌절되었다. 기존 연구가 교포 작가, 한국계 작가라는 것에 방점을 찍고 작가 이창래를 바라보았다는 데 아쉬움이 있었다. 아시아계 작가라고 해서 작품의 범위를 규정하고 상상력의 폭을 좁히는 것은 올바른 텍스트 번역읽기가 아니었다. 그러나 이창래를 인종이나 출신과 상관없이 작가 자신의 주장대로 ‘미국작가’로 바라보았을 때 텍스트의 인물들은 문화권력 안에서 주류가 되어가기 위해 자발적으로 포섭되어가는 동화주의자였다. 주류사회에 진입하는 데 성공한 Kwang은 소수인종을 대표하는 정치인으로서 이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하지만 이면에는 한국계 이민자들을 희생시켜서라도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하고자 하는 철저한 동화주의자였다. 헨리는 미국의 엘리트교육을 받고 미국인 아내와 결혼한 한국계 미국인이지만 여전히 자신에게 남겨진 한국의 DNA를 지우고 싶어 하고, 미국 사회 내에서 원어민 (Native Speaker)으로서 완벽한 발음과 회화를 통해 권력을 행사하고 싶어 했다. 결국 아내 릴리아의 곁으로 돌아와 소수인종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침으로써 언어 권력을 행사하고, 아내로 상징되는 백인지배문화에 순응하는 헨리의 모습을 통해 작가 스스로도 자신의 정체성을 한국인 혹은 한국계 미국인이라기보다는 미국인 자체로 규정하려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주류 미국인이 소수민족을 착취하고 이용하는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미국사회에 정착한 헨리나 Kwang이야 말로 문화권력 안에서 자발적으로 굴종하고 자신의 욕망을 성취하기 위해 포섭되어가는 동화주의자였다. 미국에 대한 체제 순응적이고 백인사회에 의존하려는 태도, 정체정에 대한 고민을 접고 백인기득권 동조자로 안주하려고 노력했던 이들의 모습에서 ‘억압받는 소수민족 내부에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권력관계’를 읽어낼 수 있었다.

Abstract

The essay’s object is ‘Reading hybrid’s desire and power’s relationship of characters’ Their desire are presented by language. but I could not read some culture parts by language translation so I tried to use ‘culture translation reading’ Character’s desires had language and identity’s problems in ChangRae Lee’s Native Speaker. It was fulfilled or not by various methods. I was inconvenienced to preceding study about ChangRae Lee’s works. Preceding Scholars have a perspective that is ‘ChangRae Lee is a Korean-American author’ It was not right translation reading to considered work’s boundary and narrow imagination although he is a Korean-American author. but he continued to assert that he is American, so when I see him as a American author, I can read that characters are voluntary assimilationist. they try to the majority in culture’s power. Kwang is a presented politician of ethnic minorities in major American white color society. But he is a rugged assimilationist, he achieved his ambition although Korean-American immigrant sacrifice. Henry is a Korean-American who married American wife, studied American elite education, but he try to remove his Korean DNA, want to be perfect American as Native Speaker. and he want to get power although use perfect pronunciation and conversation. So he came back his wife, Lilia who is symbol of white control class and culture and taught english to ethnic minorities’ children. I could find ChangRae Lee’s identity that is American through Henry. Henry and Kwang are assimilationist for get their desire and success in culture power. they imitated american society that exploited and used ethnic minorities, they have depended, system accepted attitude for white color control society. I can read ‘Power Relationship’ that is in the ethnic races

Keywords:

'Lee, Chang-Rae', Native Speaker, Culture Translation, Hybrid Culture, Language Power

키워드:

이창래, 『영원한 이방인』, 『네이티브 스피커』, 문화번역, 혼종적 욕망, 언어권력

Reference

    1. 자료

    • Lee, Chang-Rae. Native Speaker, New York: Riverhead, 1995.
    • 이창래, 현진만 역, 『네이티브 스피커』 1-2, 미래사, 1995.
    • 이창래, 정영목 역, 『영원한 이방인』, 나무와 숲, 2003.

    2. 단행본 및 논문

    • 고부응, 「이창래의 『원어민』: 비어있는 기표의 정체성」, 영어영문학 48권, 2002. 619-638면.
    • 권택영, 「응시로서의 『제스쳐 인생』-이창래와 라캉의 다문화적 윤리」, 『영어영문학』, 48집, 2002, 243-261면.
    • 김대중, 「이창래와 카즈오 이쉬구로의 소설들 속에서 나타나는 내러티브와 간극들」, 동서비교문학저널 29호, 2013. 37-60면.
    • 데리다, 박성창 편역, 『자끄 데리다: 입장들-기호학과 그라마톨로지』, 도서출판 솔, 1992.
    • 박성원, 신동일,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분석에 나타난 언어와 정체성의 결속성 연구-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이중언어학 54호, 2014. 123-156면.
    • 벤야민, 반성완 편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 이상빈, 「문화번역의 텍스트적 재현과 ‘번역’-이창래의 Native Speaker와 그 번역본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제18권 4호. 119-140면.
    • 이선주, 「미국이주 한국인들의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미국소설, 15권 1호, 2008. 95-119면.
    • 이형진, 「이창래의 Native Speaker의 한글번역본 비교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36집, 2011년 가을호. 131-165면.
    • 장경렬, 「정체성의 위기, 언어의 안과 밖에서: 이창래의 소설 『네이티브 스피커』 읽기」, 문학판 1권, 열림원, 2002.
    • 정정호, 「주변부 타자의 정체성 탐색의 가능성」, 서평문화 52집, 2003.
    • 정혜욱, 「한국계 미국소설에서 민족의 번역: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를 중심으로」, 새한영어영문학 49권 4호. 73-100면.
    • 조규익, 「바벨탑에서 자아찾기」, 어문연구 34권 2호, 2006. 161-182면.
    • 조재룡, 「번역문학이라는 불가능성의 가능성-개념 정의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기획 김미영, 「이창래 소설에 재현된 한국여성과 한국문화」, 『어문연구』, 34권 1호, 2006. 7-51면.
    • 지봉근, 「이창래의 원어민에 나타난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 문화적 차이와 잡종성」, 비교문학 33집, 한양대 인문학연구소, 2003.발표 논문, 2015. 303-322면.
    • 차민영, 「이창래의 『원어민』과 토니 모리슨의 『재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양상」, 현대영어영문학 53권 3호, 2014. 267-287면.
    • Benjamin, The Task of the Tlanslator, Illuminations. Glasgow: Fontana/Collins, 1982, pp.69-82.
    • Robinson, D. Translation and Empire: Postcolonial Theories Explained, Manchester: St. Jerome Publishing, 1997.
    • Susan Bassnett-McGuire, Translation Studies, New York: Methuen,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