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6, pp.547-572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30 Apr 2017 Reviewed 08 Jun 2017 Accepted 10 Jun 2017 Revised 19 Jun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6.66.547

학교라는 장치와 웃음의 역학 : 염상섭의 「지선생(池先生)」을 중심으로

황지영*
*충남대
A Device Called School & Dynamics of Laughter Centered on 「Ji Seonsaeng」, by Yeom Sang-Seop-
Hwang, Ji-Young*

초록

본고는 염상섭이 1930년에 발표한 「지선생(池先生)」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식민지 조선의 학교 안에서 규율에 대한 복종과 저항을 동시에 실현하는 지선생의 모습을 살필 것이다. 이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학생들이 만세 운동을 벌이고, 학교에서 조선인 교사들이 점차 퇴출되는 시기였다. 이런 시기에 지선생은 교실 바닥에 침을 뱉고, 수업 시간에 술을 마신 후 졸기를 일삼는다. 그럼에도 학생들은 학교에 마지막 남은 조선인 선생인 그를 애정과 연민을 갖고 대한다. 매일 학교에 가장 먼저 출근할 만큼 성실하지만 학교 안에서는 규율에 벗어나는 행동을 서슴지 않는 지선생은 독자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동시에, 학교의 규율에 균열을 내는 기능도 담당한다. 무기력해 보이는 지선생의 기이한 행동들이 근대식 학교, 더 나아가 식민지 제도에 균열을 낼 수 있는 촉매제로 읽힐 수 있는 이유는 그 행동들에서 파생되는 웃음 때문이다. 그 웃음은 소설 속의 학생들에게뿐 아니라 이 소설의 독자들에게까지 전파되어 저항과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Ji Seonsaeng」 by Yeom Sang-Seop published in 1930 and examines regulations for Joseon students by school and Ji Seonsaeng who observes the rules and at the same time escapes from them. This work is against a background of the period when students were conduc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s and Joseon teachers were gradually being kicked out from school. In such a period, Ji Seonsaeng spits on the floor of the classroom, dozing during class habitually after drinking. Nonetheless, students express affection for and sympathy with Ji Seonsaeng, a last Joseon teacher who was left at school. Ji Seonsaeng, sincere enough to go to work before anyone else but deviant from regulations at school, also functions both evoking a laugh and destroying regulations. The reason why Ji Seonsaeng, seemingly inactive may have significance is that laughter derived from such an image has a possibility of resistance and solidarity.

Keywords:

Yeom Sang-Seop, Ji Seonsaeng, School Regulation, Resistance of Laughter, Emotional Infection

키워드:

염상섭, 지선생, 학교 규율, 웃음의 저항성, 감정의 전염

Reference

    1. 1차 자료

    • 염상섭, 「지선생」, 『염상섭 전집9- 초기단편』, 민음사, 1987.
    • 이혜령․한기형 편, 『염상섭 문장 전집1』, 소명출판, 2013.
    • 이혜령․한기형 편, 『염상섭 문장 전집2』, 소명출판, 2013.

    2. 단행본

    • 김경자․김민경․김인전․이경진, 『한국 근대초등교육의 좌절-일제강점기 초등교육』, 교육과학사, 2005.
    • 김윤식, 『염상섭론』, 20세기 한국작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김진균․정근식 편,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 데버러 럽턴, 『감정적 자아』, 박형신 역, 한울아카데미, 2016.
    •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재생산에 대하여』, 김웅권 역, 동문선, 2007.
    • 마사 누스바움, 『감정의 격동2: 연민』, 조형준 역, 새물결, 2015.
    •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감옥의 역사』, 오생근 역, 나남출판, 2005.
    •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이덕형․최건영 역, 아카넷, 2001.
    • 앙리 베르그송, 『웃음-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 정연복 역, 세계사, 1992.
    • 이승원, 『학교의 탄생』, 휴마니스트, 2005.
    • 정재철, 『일제의 대한국식민지교육정책사』, 일지사, 1985.
    • 조동걸, 『한국계몽주의와 민족교육』, 역사공간, 2010.

    3. 논문

    • 강명숙, 「일제시대 제1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학제 개편」, 『한국교육사학』 제31권 제1호, 2009.4, 21〜23면.
    • 김종균, 「염상섭의 1930년대 단편소설」, 『국어국문학』 77, 1978.6, 194〜195면.
    • 박혜진, 「1910․1920년대 공립보통학교 교원의 업무와 지위」,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1, 15〜17면.
    • 우사미 내무부장관, 「교원심득에 대하여(1-9)」, 『매일신보』, 1916.1.16-26.
    • 정은경, 「저항 혹은 투항의 책략으로서의 웃음-조각난 ‘웃음’에 관한 ‘조각난’ 이야기」, 『오늘의 문예비평』, 2008.11, 62면.
    • 조윤정, 「이태준 소설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학교」, 『상허학보』 28, 2010.2, 11〜52면.
    • 최지현, 「근대소설에 나타난 학교- 이태준, 김남천, 심훈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하정일, 「보편주의의 극복과 ‘복수(複數)의 근대’」, 문학과사상연구회, 『염상섭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1998, 75면.
    • 함일돈(咸逸敦), 「창작계의 이삼고찰-최근 일년간의 작품과 작가3」, 『동아일보』, 19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