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6, pp.235-27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15 May 2017 Reviewed 08 Jun 2017 Accepted 10 Jun 2017 Revised 19 Jun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6.66.235

마녀와 히스테리 환자 : 1950-60년대 손소희 소설의 여성의 욕망과 가부장제의 균열

신수정*
*명지대 문창과 교수
Witch and Hysteria patient : A Study on the Female's Desire and the Crack of the Patriarchy in 1950-60's Novels of Son Sohee
Shin, Soo-Jeong*

초록

남성적 상징 질서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표출할 수밖에 없는 여성은 언제나 지배 체제와의 ‘어긋남’의 순간을 함축하고 있을 수밖에 없다. 이 ‘어긋남’은 남성적 호명 체제에 균열을 가하는 여성의 욕망의 흔적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50-60년대 손소희의 대표작이라고 할 만한 『태양의 계곡』(1959)과 「그날의 햇빛은」에 대한 ‘징후적 독법’은 이에 대한 하나의 사례를 제공한다.

『태양의 계곡』은 표면적으로 ‘착한 여자’ 지희의 삶을 긍정하고 ‘나쁜 여자’ 정아의 섹슈얼리티를 응징하는 텍스트로 읽힐 수도 있지만 서사의 진행과 더불어 가부장제가 규정해놓은 두 가지 범주의 여성 주체는 각자 역할을 바꾸고 서로 뒤섞이며 지배적 상징 질서의 ‘호명’ 체계를 교란시키고 조롱하는 측면이 있다. 특히 ‘괴물’ 혹은 ‘마녀’로 재현되는 ‘아프레걸’ 정아의 ‘무심한 시선’과 ‘웃음소리’는 남성적 상징 체계를 조롱하는 여성적 욕망의 ‘비언어적 발화’라고 할 만하다.

손소희의 소설을 이야기할 때 어김없이 거론되는 「그날의 햇빛은」 역시 마찬가지다. 아버지의 이름을 대신하는 어머니에 대한 과도한 이상화와 동일시로 ‘히스테리 환자’가 된 진희는 자살을 시도를 통해 미처 실현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자신의 욕망의 잔여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그녀는 노골적으로 ‘이름’의 불일치가 초래하는 정체성의 분열을 호소하며 ‘마리아’와의 동일시를 통해 남성적 욕망의 체계를 흉내 내고 패러디하고 조롱하는 한편, 그것을 내파하고자 하는 강력한 여성적 욕망을 표출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기 손소희의 소설들을 단순하게 지배 이데올로기와 공모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연성의 텍스트로 치부하는 것은 일면적인 측면이 없지 않다. 이러한 방식의 독해는 재현불가능하지만 규정불가능한 것은 아닌 여성의 욕망의 다양한 재현 방식에 눈감는 결과를 가져오거나 어떤 형태의 동일성의 논리로도 포섭할 수 없는 여성적 글쓰기의 유동적 성격을 보편적인 논리로 재구축하려는 경직된 작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함축한다. 여성문학은 어떤 형태로든 미처 재현할 수 없는 여성의 욕망의 복수성을 인정하는 자리에서 출발하는 비동일성의 문학임을 확인할 다시 한 번 필요가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a thorough ‘symptomatic reading’ of Son So-hee’s Valley of the Sun (1959) and The Sunshine of ThatDay, which, although being the most widely known works among Son So-hee’s novels during the 1950-60s, imply a possibility of a twist depending on the rea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at the judgment that these novels form a relationship of complicity with the dominant ideology is a unilinear conclusion that fails to consider the unique representation aspects of the female text.

On the surface, Valley of the Sun may be read as a text that affirms the life of Ji-hee, ‘the good woman’, while punishing the sexuality of Jung-ah, ‘the bad woman’, but the two categories of female subjects defined by the patriarchy alongside the progression of the narrative reveal an aspect of disrupting and mocking the ‘appellation’ system of the dominant symbolic order as their roles interchange and get mixed. In particular, the ‘heartless gaze’ and ‘laughter’ of Jung-ah who is called a ‘monster’-like ‘apres-girl’ can be referred to as the ‘nonverbal utterance’ of the female desire to mock the system of identity of the male symbolic order.

Likewise, The Sunshine of That Day is unerringly brought up when discussing the novels of Son So-hee. Due to an excessive idealization of and identification with her mother, Jin-hee becomes a ‘hysteria patient’ and indirectly reveals, through her suicide attempt and her display of madness, her remaining desires that have failed to be fulfilled. She bluntly suffers from the splitting of her identity which is caused by the discord of her ‘name’, and by identifying herself with ‘Maria’, she imitates, parodies, and mocks the system of male desire on the one hand, and by carrying out the act of killing herself, or, in other words suicide, she attempts to get ‘revenge’ on the coexisting symbolic order on the other. Such actions by Jin-hee can be sufficiently interpreted as the female desire, under the exterior of pure femininity seized by guilt, to implode the male symbolic system through a method more powerful than any other female subject.

Having no choice but to representation her desires through the male symbolic system, the female author inevitably implies the moment of ‘discord’ with the dominant system. This moment of discord inherent in the language of the female author as a ‘subaltern’ is the very moment when the female desire is represented.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ate the laughter of the monster and the suicidal impulse of the hysteria patient, which appear in Son So-hee’s novels of the 1950s and 60s, as the moment of ‘discordant utterance’ when the female desire penetrates the dominance of the male symbolic order toward express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will allow Son So-hee’s literature, which suffers from blind advocacy and groundless rumors, to be ‘discovered’ for its possibility as women’s literature.

Keywords:

symptomatic reading, representation, woman's desires, discord, nonverbal utterance, appellation, the laughter of the monster, hysteria patient, suicidal impulse

키워드:

징후적 독법, 재현, 여성의 욕망, 어긋남, 비언어적 발화, 호명, 여성의 욕망, 아프레 걸, 마녀의 웃음소리, 히스테리 환자, 자살 충동

Reference

    1. 기본 자료

    • 손소희, 『태양의 계곡』, 현대문학사, 1959.
    • 손소희, 『태양의 분신들』, 문예창작사, 1978.
    • 손소희, 『때를 기다리며-손소희문학전집11』, 나남, 1990.
    • 손소희, 「그날의 햇빛은」, 손보미 엮음, 『손소희 작품집』, 지만지, 2010.

    2. 연구 논저

    • 권보드래, 천정환, 「아프레걸 변신담 혹은 신사임당 탄생설화」, 『1960년을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 상상, 2012, 465〜505면.
    • 김병익, 『한국문단사』, 문학과지성사, 2001, 197〜198면.
    •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여성 잡지 <여성계>, <여원>, <주부생활>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6, 2006, 191면.
    • 김정숙, 「손소희 소설에 나타난 ‘이동’의 의미」, 『비평문학』 50, 2013.
    • 김해옥, 「현실과 낭만적 환상 사이에서의 길찾기」, 『현대문학의 연구』 8, 한국문학연구학회, 1997, 101〜103면.
    • 김희림, 「손소희 소설의 여성 의식과 서술전략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13.
    • 문흥술, 「나르시스적 사랑에 의한 비극적 현실의 정화-손소희론」, 『문학과환경』 7(1).
    • 박정애, 「‘동원’되는 여성작가: 한국전과 베트남전의 경우」, 『여성문학연구』 10, 2003.
    •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연구』 20, 2006, 92면.
    • 서세림, 「사랑과 정치의 길항관계」,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5(3), 2016, 84면.
    • 손유경, 「만주 개척 서사에 나타난 애도의 정치학」, 『현대소설연구』 42, 2009, 196면.
    • 심진경,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한국문학과 섹슈얼리티』, 소명, 2006, 234면.
    • 신형기, 「6.25와 이야기-전쟁수기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31, 2011, 227면.
    • 엄미옥, 「한국 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1, 2010, 267〜269면.
    • 오양호, 「1940년대 초기 만주 이민문학」, 『한민족어문학』 27, 1995.
    • 윤인선, 「‘여성 오이디푸스’의 환상을 통해 살펴본 심청의 환상과 자살의 의미」,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8(2), 2016, 103면.
    • 이민영 「발화하는 여성들과 국민 되기의 서사-지하련의 「도정」과 손소희의 「도피」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17(1), 2016, 265〜266면.
    • 이인복, 『문학과 구원의 문제』, 숙명여대출판부, 1982.
    • 이인영, 「만주와 고향: 『만선일보』 소재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6, 2012.
    • 임용택, 「일제 강점기의 만주 조선인 문학 소고」, 『한국학연구』 26, 2012, 117〜118면.
    • 전혜자, 「<남풍>의 서사적 특성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4, 2000, 243면.
    • 정영자, 「손소희 소설 연구-속죄의식과 죽음을 통한 여성적 삶을 중심으로」, 『수련어문집』 16, 1989, 15면.
    • 조미숙, 「손소희 초기 소설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08, 123면.
    • 조은주, 「일제 말기 만주 체험 시인들과 ‘기억’의 계보학적 탐색」, 『한국시학연구』 23, 2008, 61면.
    •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 걸」, 『대중서사연구』 13(2), 2007, 122〜123면.
    • 버틀러, 주디스, 조현준 옮김,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 베르고트, 앙투안 김성민 옮김, 『죄의식과 욕망-강박신경증과 히스테리의 근원』, 학지사, 2009, 283〜284면.
    • 브룩스, 피터, 이승희, 이혜령, 최승연 옮김,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소명, 2013, 3〜12면.
    • 식수, 엘렌, 카트린 클레망, 이봉지 옮김, 『새로 태어난 여성』, 나남, 2008, 21면.
    • 식수, 엘렌, 카트린 클레망, 박혜영 옮김, 『메두사의 웃음/출구』, 동문선, 2004, 28〜30면.